Search

2-1강

URL
스토리텔링으로 할 수 있는 것
인공지능작가되기
1. 주인공은 어떤 과정을 거쳐 도입부 상황에 이르렀을까?
2. 주인공이 바라는 것은 무엇일까?
어둠에 대한 공포를 극복하고 싶어 하나? 세발 자전거 타는 법을 배우고 싶어 하나? 괴롭히는 아이가 있나? 내성적인 성격인가?
주인공은 일관성이 있어야 한다. 또한 도입부에 등장하지 않은 캐릭터가 결말에 등장하거나 도입부에 등장하는 캐릭터가 결말에 등장하지 않는다면 그 캐릭터를 빼거나 다른 캐릭터와 합치는 것이 좋다.
이러한 창조하고 탐구한 내용은 원고로 쓰지 않고 자신만이 볼 수 있는 곳에 붙여놓고 이야기를 써내려 간다.
■그림책 이야기의 구조
그림책 작가는 소설가처럼 이야기를 서서히 진행하는 사치를 누리지 못한다. 그림책은 도입부를 빠르게 진행해서 처음부터 독자의 시선을 붙들어야 한다.
강렬한 도입부를 만들기 위한 6가지 요소
1.처음부터 주인공이 무대에 등장 2. 주인공이 맞닥뜨린 문제, 원하는 것, 겪고 있는 갈등
엄마, 밥 언제 주실 건가요?
①자신과의 갈등 ②다른 인물과의 갈등 ③세상과의 갈등(이념 구조, 제도, 관습, 사상)
④자연과의 갈등(대자연)
3. 시간적 배경
4. 공간적 배경
5. 분위기는 어떤가? 우스운가? 심각한가? 슬픈가, 재밌는가? 등등
6. 독자를 확 낚아채는 부분이 있는가?
플롯
1. 중간을 채우기에 내용이 빈약하다.
2. 뻔하고 처음부터 예상되는 흐름이다.
3. 지루해서, 정말 너무 지루해서 나조차 재미없다.
4. 긴장감이 떨어져서 독자가 책장을 넘길 것 같지 않다.
이면
탈피방법
주인공의 갈등부분에
1)삼세번의 원칙
가기 싫어요. 첫째 아기 돼지는 침대에 숨었어요. 둘째 아기돼지는 옷장에 숨었어요.
막내 아기돼지는 아궁니에 숨었어요.
엄마가 찾아서 다시 말했어요. 이제 정말 가야 한다.
이러면서 독자들은 캐릭터들과 친해질 시간이 생겼고 아기돼지들의 고민도 느낄 수 있게 되었다. 이제 독자들과 아기돼지들은 같은 고민을 한다.
삼진아웃제, 삼위일체, 곰 세 마리, 아기돼지 삼형제, 삼총사, 세 번의 소원 등등
3이라는 숫자는 만족감을 준다. 세 번이나 실패를 거듭하면 독자는 주인공에게 더욱 동정심을 느낀다. 그러나 재미가 없다. 삼세번의 원칙 이상의 요소가 필요하다.
1. 다양한 사건이 일어나야 한다.
2. 인과관계가 있어야 한다.
3. 목표나 주요 사건을 쫓아 사건이 심화되어야 한다.
6. 등장인물
주인공 캐릭터(매력적인 캐릭터를 창조하자)-
내가 만들어낸 인물에 대해서는 아무리 많이 알아도 지나치지 않는다.
주인공 캐릭터는?
1. 독자의 마음을 끌어야 한다.
2. 호감 가는 인물이이어야 한다.
3. 아이 같은 아이, 아이 같은 어른 또는 아이 같은 동물이어야 한다.
4. 완벽하면 흥미를 잃는다..
5. 그 인물답게 행동해야 한다.
6. 능동적이어야 한다.
7. 자신의 문제를 스스로 해결할 수 있어야 한다.
캐릭터가 가지고 있어야 할 5가지+2가지
1.
이름 : 이름 속에 주인공의 성격이나 외모 등 많은 것이 담겨 있을수록 좋다.
2.
태어난 해와 나이: 시간적 배경을 정하는 데 영향을 끼친다.
1700년에 태어난 5살(과 2019년에 태어난 5살 아이는 아주 다른 삶을 산다.
1.
외모: 주인공이 동물일 수도 있다. 그렇다면 동물의 외모 또한 묘사해야 한다. 주인공은 외모에 신경을 쓰나, 지저분한가? 어떤 옷을 즐겨 입나?, 특별히 좋아하는 옷은 있나? 건강한가? 자주 아픈가? 절름발이인가? 등등
2.
인간관계: 가족관계, 가족의 외모와 성격도 정해서 적어놓아야 한다. 가족이 다문화인가? 행동양식이나 신념이 있나? 경제상황은 어떤가? 친구관계는 어떤가 이웃은? 선생님과의 관계는? 주인공은 이런 모든 것들에 영향을 받고 어떤 감정을 느끼는지 작가는 창조해야 한다.
3.
성격: 인물의 강점과 약점, 두려움, 집착, 특별한 능력, 취미 등을 창조해야 한다. 머리를 쓸어내리는 버릇이 있는지 목소리의 톤은 어떤지, 계속해서 고민해보고 자신이 창조한 캐릭터에게 모르는 성격을 물어본다.
4.
좋은 결말의 열두 가지 기준
1. 이야기의 결말은 뜻밖이면서도 당연해야 한다.
쉽게 예상할 수 있으면 재미없다. 결말은 이야기 속에서 자연스럽게 흘러나오면서도 뜻밖이어야 한다.
2. 문제는 해결되어야 한다.
3. 앞에 쓴 내용과 이어져야 한다.
4. 문제는 주인공이 해결해야 한다.
5. 주인공이 어떤 식으로든 변한다.
6. 우연에 영향을 받지 않는다.
7. 조력자가 도중에 마법처럼 나타나지 않는다.(인과관계가 있어야 설득력이 있다.)
8. 등장인물 모두가 중요한 역할을 한다.
9. 결말은 마지막에 나온다.
10. 깔끔하게 매듭을 짓는다.
11. 교훈이나 훈계를 직접적으로 하지 않는다.
12. 해피엔딩은 아니어도 되지만 희망 또는 얻는 건 있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