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가 만들고자 하는 그림책은
1)글을 전혀 모르는 어린이를 위한 책
2)책을 읽는 데 흥미를 붙이기 시작한 어린이를 위한 책
•
하드커버든 소프트커버든 32쪽 형식
•
분량은 유아용의 경우 a4 반페이지이하~아동용의 경우 a4 2페이지~5페이지 정도
•
글작가 주도적인 스토리텔러
•
그림작가는 자신만의 이야기를 그려 넣어 글을 읽지 못하는 독자가 그림을 읽는 재미를 가미
•
2. 두 살부터 여덟 살 독자의 특성 10가지
1) 모든 것이 새로운 나이_먼 곳뿐만 아니라 집근처도 모험과 탐구의 대상-다양한 호기심을 담아내야
2) 현재에 충실-세 시간 뒤, 내일, 일주일 뒤 등의 개념을 이해하기 어려움. 다음날, 엄마가 도착했을 때 등으로 표현
3) 일상에 대한 경험이 많지 않아 어른들에게 사소해보일지라도 아이에게 중요한 것을 찾아내야
4)아이들이 느끼는 감정은 강렬 - 모든 것이 심각
5)어린 시절이 모두 장밋빛만은 아니라는 것을 인지
6)생각보다 더 많은 것을 이해하는 나이-시시콜콜 다 설명하지 않아도 된다. 억지로 교훈을 가르치려 들지 말자.
7) 오래 집중 하지 못한다. 사물의 모든 것이 아니라 특정 부분에 집중해서 글을 써야
8) 자기 중심적이다. -엄마나 교사가 겪는 문제보다 자신이 겪는 문제에 대한 이야기를 듣고 싶어 한다.
9) 독립하고 싶어한다. - 뭐든 스스로 하고 싶어 한다.
10) 상상력이 풍부하다. - 세상 경험이 적기 때문에 어른이 이미 불가능하다고 못 박은 수많은 가능성을 순순히 믿는다. 풍선을 타고 세계일주. 작가의 상상력도 아이들의 상상력과 함께 날 수 있어야 한다.
■이야기의 기본요소
1. 주제
이상적인 책은
커다란 주제에 대해 질문하거나 의미 있는 문제를 탐색. 인생이나 우리가 사는 세상 속의 진실 한 조각을 품고 있어야 한다. 아무 의미 없는 사건, 장면, 묘사는 지양해야 한다.
작가는 글을 쓸 때 어떤 사상이나 주제를 늘 머릿속에 그리고 있어야 한다.
책장을 덮은 후에도 독자의 마음속에 남는, 하나의 사건을 울림이 있는 이야기로 만들 무언가를 더해야 한다.
책에서 작가가 던지는 질문은 ? -직접 글로 쓰지 않고 작가의 마음속에 있어야 하며 책을 쓰는 내내 수시로 확인해야 한다.
책에서 작가가 제시하는 해답은?
2. 시점(화자):
대부분의 그림책은 외부관찰자가 주인공의 머릿속으로 들어가 이야기를 전하는 3인칭 관찰자시점.
3인칭 관찰자 시점(단수인물시점)이 대부분이나 시점 인물을 바꾸거나 1인칭, 편지글, 일기 등 방식으로 이야기 전개. 또한 동물이나 사물에게 말을 걸거나 화자가 책이나 책상, 나무 등 인간이외의 캐릭터가 되어보기 등 새로운 방법으로 이야기 전달->기존의 시점보다 풍부한 이야기를 만들 수 있다.
3. 시간적 배경
현재 연도, 캐릭터의 태어난 해, 캐릭터의 나이 등을 정하는 것이 필요. 미래인지, 과거인지. 시제도 함께 고려할 것.
4. 공간적 배경
도시인지 농촌인지, 바다인지 산인지를 비롯해, 우주인지. 장소를 그럴듯하게 묘사하려면 그곳을 철저하게 공부해야 한다.
5. 등장인물
주인공 캐릭터(매력적인 캐릭터를 창조하자)-
내가 만들어낸 인물에 대해서는 아무리 많이 알아도 지나치지 않는다.
주인공 캐릭터는?
1. 독자의 마음을 끌어야 한다.
2. 호감 가는 인물이이어야 한다.
3. 아이 같은 아이, 아이 같은 어른 또는 아이 같은 동물이어야 한다.
4. 완벽하면 흥미를 잃는다..
5. 그 인물답게 행동해야 한다.
6. 능동적이어야 한다.
7. 자신의 문제를 스스로 해결할 수 있어야 한다.
캐릭터가 가지고 있어야 할 5가지+2가지
1.
이름 : 이름 속에 주인공의 성격이나 외모 등 많은 것이 담겨 있을수록 좋다.
2.
태어난 해와 나이: 시간적 배경을 정하는 데 영향을 끼친다.
1700년에 태어난 5살(과 2019년에 태어난 5살 아이는 아주 다른 삶을 산다.
3.
외모: 주인공이 동물일 수도 있다. 그렇다면 동물의 외모 또한 묘사해야 한다. 주인공은 외모에 신경을 쓰나, 지저분한가? 어떤 옷을 즐겨 입나?, 특별히 좋아하는 옷은 있나? 건강한가? 자주 아픈가? 절름발이인가? 등등
4.
인간관계: 가족관계, 가족의 외모와 성격도 정해서 적어놓아야 한다. 가족이 다문화인가? 행동양식이나 신념이 있나? 경제상황은 어떤가? 친구관계는 어떤가 이웃은? 선생님과의 관계는? 주인공은 이런 모든 것들에 영향을 받고 어떤 감정을 느끼는지 작가는 창조해야 한다.
5.
성격: 인물의 강점과 약점, 두려움, 집착, 특별한 능력, 취미 등을 창조해야 한다. 머리를 쓸어내리는 버릇이 있는지 목소리의 톤은 어떤지, 계속해서 고민해보고 자신이 창조한 캐릭터에게 모르는 성격을 물어보아야 한다.
이야기가 시작되기 전 어떤 일이 있었기에 주인공이 그러한 상황에 처한 것인지 알고 있어야 한다.